안경을 사용하시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잘못된 안경관리로 인해 안경렌즈에 손상이 가거나 안경테에 이상이 생겨 다시 안경을 맞춰야 하는 곤란한 상황을 겪어보신 분들이 많이 계실 듯합니다. 오늘은 안경착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인 안경을 손상 없이 오래 착용하기 위한 올바른 안경관리방법 안경사로서의 경험을 살려 최대한 자세하게 알려드려 보겠습니다.
안경렌즈 관리방법 ,안경 오래 사용하는 방법
일반적으로 안경사들 사이에서는 안경렌즈의 적정수명을 1-2년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안경렌즈의 재질이나 브랜드 혹은 코팅 수준등에 따라 어느 정도의 차이는 발생될 수 있습니다.관리상태에 따라 그 기간은 짧아질 수도 길어질 수도 있기에 오래 사용하시기 위해서는 렌즈관리에 신경을 쓰셔야 하는데요. 안경렌즈에 손상을 주는 잘못된 습관들부터 정리를 해보겠습니다.우선 가장 흔한 경우가 안경수건 즉 안경닦이 이외의 다른 물건으로 안경을 닦는 경우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물건으로는 휴지나 수건 혹은 옷 등이 있는데요. 이런 물건을 사용해 반복적으로 안경을 닦다 보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안경에 미세한 흠집이 발생하게 되고 렌즈표면에 처리된 코팅이 벗겨지거나 약해지면서 흠집발생을 더욱더 유발하게 됩니다. 안경원에서 공급하는 안경수건의 경우 미세한 극세사를 사용한 제품으로 안경렌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이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안경수건 이외에 다른 물건은 절대 사용을 금해야 하며 안경렌즈의 수명을 늘려주기 위해서는 안경을 닦기 전에 안경표면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들을 깨끗한 물을 사용해 제거해 주는 게 좋습니다. 먼지나 이물질이 있는 상태로 안경을 닦게 되면 이물질들로 인해 렌즈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물질을 제거해 준 후 닦아주시는 게 좋습니다.
안경렌즈는 열에 약하다
이물질이나 먼지제거를 위해 뜨거운 물을 사용할 경우 렌즈표면이 심하게 갈라져 빛의 투과율을 떨어뜨리게 되고 시야가
뿌옇게 잘 보이지 않는 현상을 발생시키세 됩니다. 따라서 절대 뜨거운 물은 사용을 하지 않으셔야 하며 찬물을 이용해 이물질 제거를 해야만 합니다. 만약 기름기 즉 유분이 안경표면에 뭍은 경우는 물을 사용해도 닦이지 않기 때문에 중성세제인 주방세제를 사용해 렌즈표면을 닦아내고 물로 씻어주면 기름기가 깨끗하게 제거됩니다. 이때에도 절대 뜨거운 물 사용은 금지해야만 합니다.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을 위해 다시 한번 강조드리지만 안경렌즈는 열에 취약한 특징이 있습니다.
보관 시 주의사항
안경보관방법이 잘못될 경우에도 렌즈손상이 발생되는데요. 흔한 경우가 열에 의한 손상입니다. 봄이나 여름철 뜨거운 차 안에 안경이 보관될 경우 렌즈표면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겨울철 난방기나 온열기 주변에 안경을 방치할 경우에도 같은 이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안경렌즈의 표면처리의 경우 열에 약한 특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뜨거운 곳을 피해야 합니다.
안경케이스 안에 보관 시 안경만 넣어두기보다는 안경수건을 통해 렌즈가 안경케이스에 닿지 않도록 보호해주어야 하며 그냥 안경만 넣어둔 채로 가방이나 서랍 속에서 흔들릴 경우 케이스 안에서도 마찰로 인한 흠집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안경을 바닥이나 테이블 위해 놓을 때도 반드시 안경렌즈가 닿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위에 설명드린 주의사항들을 유의하여 잘 관리한 경우 2년 정도는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안경사를 통해 검사 후 이상이 없다면 그 이상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2년 정도가 지나면 렌즈에 변색이 생기게 되고 자연적인 흠집발생으로 인해 교체하시는 걸 권하고 있긴 합니다. 안경이 오랜 된 분들의 경우 같은 도수의 안경으로 교체를 했음에도 훨씬 선명하게 보이는 경험을 해보셨을 텐데요. 같은 도수이더라도 투과율이 달라지면 보이는 게 큰 차이를 띄게 됩니다.
마무리글
안경사로서의 경험을 토대로 올바른 안경렌즈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을 드려봤습니다. 대부분이 알고 계실 수 있는 내용이기는 하겠으나 혹여 모르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되며 아시는 분들 또한 알면서도 잘 지켜지지 않는 주의사항들이기에 다시 한번 주지하셔서 오랜 기간 잘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안경&콘택트렌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진 다초점 렌즈 구입 시 주의사항 및 다초점 안경 적응법 (0) | 2023.02.15 |
---|---|
시력이 얼마나 떨어지면 안경을 써야 할까? (0) | 2023.02.15 |
선글라스 도수 넣기 - 시력교정용 선글라스 제작시 주의점 (0) | 2023.02.15 |
안경에 관한 궁금증 - 안경 맞추는데 걸리는 시간 (0) | 2023.02.15 |
돋보기와 사무실용 안경의 올바른 구입 방법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