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렌즈로 인한 불편함 때문에 하드렌즈를 착용해야 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하드렌즈 착용을 고민하는 분들께 장점과 단점을 소개하고 최근 하드렌즈의 수요가 감소한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하드렌즈의 장단점
하드렌즈의 장점
- 소프트렌즈의 경우 재질의 특성상 일정정도의 수분을(함수율) 유지해야만 정상적인 상태의 시야와 착용감을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소프트렌즈의 필요수분은 우리 눈의 눈물층으로부터 공급을 받게 됩니다. 착용초기에는 렌즈의 수분량이 충분하기에 이상이 없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렌즈의 함수율이 떨어지게 되면서 우리 눈의 눈물층으로부터 눈물을 빼앗가 가게 됩니다. 시간이 더 흐르면 우리 눈의 눈물양도 줄어들게 되어 렌즈에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 오게 되면 눈이 뻑뻑해지고 렌즈가 말라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하드렌즈의 경우는 수분이 크게 필요하지 않기에 눈물의 영향을 덜 받고 눈 역시 렌즈에게 눈물을 뺏기는 현상이 없기에 부담을 덜게 됩니다.
- 하드렌즈의 경우는 소프트렌즈에 비해 산소전달량이 월등히 높습니다. 따라서 산소부족으로 인한 충혈이나 부작용이 덜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재질적인 특성으로 산소투과가 높기도 하고 우리가 눈을 깜빡일 때마다 렌즈가 움직이면서 대기 중의 공기를 눈에 공급해 산소부족을 해결해 주게 됩니다.
- 한번 구입하게 되면 분실이나 관리소홀문제만 없다면 2년 정도의 긴 시간 동안 착용이 가능합니다. 소프트렌즈는 눈물을 흡수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지질성분의 침착으로 시간이 지나면 착용감과 시야에 이상이 오게 됩니다. 하지만 하드렌즈의 경우는 이런 현상이 훨씬 덜하기에 오랜 기간 착용이 가능합니다.
- 하드렌즈는 시력교정의 효과가 좋아 안경이나 소프트렌즈로 만족할만한 교정이 안될 때 착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도근시나 고도난시에서 교정효과가 좋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어 이런 분들에게는 추천드릴만합니다.
하드렌즈의 단점
- 하드렌즈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착용감을 들 수 있습니다. 수분이 거의 없는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이물감을 유발하며 렌즈가 눈물층위에서 움직이면서 눈을 지극하게돼 적응하기 전인 착용초기에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합니다. 착용감개선을 위해 다양한 설계의 제품들이 생산되어 과거에 비해 착용감개선이 많이 이루어지긴 했으나 소프트렌즈의 편한 착용감과는 아직도 큰 차이가 있기에 거부감을 갖는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 소프트렌즈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물론 오래 착용할 수 있기에 기간대비 금액으로 본다면 차이가 없겠지만 초기비용은 훨씬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작게는 10만 원대부터 비싸게는 수십만 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들이 있습니다.
- 렌즈가 눈에서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프트렌즈에 비해 사이즈가 작고 밀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서 이탈되는 경우가 간혹 생기게 됩니다. 때문에 분실의 위험도 있기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 이물질이 들어가면 통증이 심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렌즈가 움직이면서 먼지나 이물질이 눈을 자극하는 경우 생각보다 심한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하드렌즈 수요감소
한때 소프트렌즈를 대체해 하드렌즈가 인기를 끌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하드렌즈의 가장 큰 단점인 착용감이 개선되면서 건조감으로 고생하시던 분들이 하드렌즈로 많이 교체를 했었습니다. 하지만 단기착용렌즈들 특히 일회용 렌즈가 대중화되면서 높은 함수율과 산소전달량을 장점으로 건조감을 어느 정도 해결하게 됐고 건조감과 충혈로 고생하던 소프트렌즈착용자들이 하드렌즈 이외에도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생겨나게 됩니다. 초기에는 일회용 렌즈의 가격적인 부담이 소비자들에게 쉽게 다가가기 힘든 상황이었지만 현재는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일회용 렌즈 소비자들이 급격하게 늘어가고 있습니다. 일회용의 대중화로 하드렌즈의 수요는 많이 감소된 상황입니다.
'안경&콘택트렌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색렌즈와 플립업 선글라스로 선그라스와 안경을 하나로 (0) | 2023.02.21 |
---|---|
안경원 창업정보 - 안경렌즈와 안경테의 공급방식 (0) | 2023.02.21 |
콘택트렌즈 찢어지는 이유와 분실 예방법 (0) | 2023.02.20 |
안경테 수리 어디까지 가능할까? 안경 수리 비용 및 기간 (0) | 2023.02.20 |
콘택트렌즈 장점과 단점 - 렌즈착용이 눈에 미치는 영향 (0) | 2023.02.19 |
댓글